로마는 세습으로 망했는데 삼성은 괜찮을까?
이철현 시사저널 기자
라틴어 임페라토르란 로마의 황제를 가리킨다(본래는 개선장군을 부르는 경칭이었다). 이 칭호를 지닌 자는 종신 군통수권을 가진다. 당시 유럽 최강 전력인 로마군단의 총사령관이다. 게르만족과 맞선 라인강과 도나우강 전선이나 파르티아와 인접한 소아시아와 팔레스타인처럼 수시로 전투가 터지는 최전선에 주둔하는 최정예 군단의 사령관들을 인선한다. 원로원은 갈리아(서유럽)나 히스파니아(스페인) 지역처럼 평화로운 곳의 총독과 군단장의 인선을 맡았다.
이건희 회장은 초일류 기업집단 삼성의 종신 통령이다. 그는 국내 최강 전력을 자랑하는 25만 명 삼성인의 총사령관이다. 그는 반도체·정보통신·디스플레이·가전·금융처럼 시장 경쟁이 치열한 최전선을 지휘할 최고경영자(CEO)를 인선한다. 상대적으로 경쟁 환경이 우호적이라고 분류할 수 있는 소비재·유통·호텔·레저 영역의 CEO 인선은 전략기획위원회(주요 사장단 연석회의)나 전략기획실의 판단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다.
로마 황제는 임페라토르 외에 또 다른 칭호를 갖는다. 제일인자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프린켑스(Princeps)’이다. 프린켑스는 한니발을 무찌르고 제2차 포에니 전쟁을 승리로 이끈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게 부여된 이래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지도자에게 붙여졌다.
이건희 회장은 한때 천덕꾸러기였던 ‘삼성반도체’를 키워내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당시 최강이었던 일본 업체를 물리쳐 삼성전자가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자리 잡는데 초석을 다졌다. ‘한국 반도체의 신화’가 읊어질 때마다 이회장은 ‘일리아드 앤 오디세이’의 헥토르나 아킬레스 같은 신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가 삼성그룹의 프린켑스라고 말하는 것은 사족이다.
로마 황제는 ‘호민관(tribunus plebis)’만이 갖는 특권을 향유했다. 호민관은 평민의 권리를 지키기 위하여 평민 중에서 선출한 관직으로서 원로원 결정에 대한 거부권과 함께 신체불가침권을 갖고 있었다. 호민관은 재임 기간 범죄를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임기가 끝난 후에야 처벌할 수 있었다.
이회장이 사장단 회의의 의사결정 사항에 대한 거부권을 갖고 있다는 것은 새삼 거론할 필요 없다. 최근 삼성이 받고 있는 갖가지 범죄 혐의를 수사하거나 재판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면, 이회장은 신체불가침 권한도 누리고 있는 듯하다. 에버랜드 편법 상속이나 정치자금 수수(X파일 사건)에 이회장이 개입했을 정황은 충분하지만 처벌은커녕 수사도 받지 않고 있다. 한국에서 그는 움직이는 ‘治外法權’인 셈이다.
지금까지 이회장이 가진 통치 권한을 살펴보았다. 이제부터 삼성의 통치 구조를 로마의 그것과 비교해보자.
로마를 법률상 형식적으로 통치하는 이는 두 명의 집정관이다. 집정관은 황제의 칙령을 실행하고 황제가 로마를 비웠을 때 황제를 대신한다. 삼성은 이학수 전략기획실장 겸 부회장과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이라는 ‘투톱’ 체제다. 이 두 부회장은 집정관 역할을 수행한다. 이학수 부회장이 최측근에서 황제를 보필하며 100명으로 구성된 최정예 전략기획실을 통해 계열사 64개를 일사불란하게 이끌고 있다. 윤종용 부회장은 그룹 최강의 단위 전력인 삼성전자를 총괄한다. 굳이 비유하자면, 로마 최대의 위협인 게르만족을 막아내는 고지게르마니아와 저지게르마니아 총독에 가깝다고나 할까.
원로원은 황제가 내린 칙령을 법률화하는 거수기 노릇을 했다. 마찬가지로 삼성사장단회의도 이회장 뜻을 거스르는 결정을 내렸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주요 계열사 사장단만이 참여할 수 있으므로 이 회의의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삼성인으로서 최고의 명예이자 영광이다. 마치 원로원 멤버가 되는 것이 로마의 통치가 미치는 모든 곳의 지도자가 누릴 최고의 영광이었듯이.
삼성 전략기획실은 권한과 업무가 방대해 로마의 통치기구와 비교하기는 어렵다. 로마가 보유한 두 가지 통치기구를 합쳐놓은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우선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절 그리스나 이집트 출신 해방노예로 구성됐던 비서진을 보자. 황제는 집안에서 일하는 해방노예에게 각자 역할을 부여해 제국 통치를 위임했다. 회계·청원서·편지·필기·지식·정보·공부 담당으로 해방노예에게 직책을 주고 세분된 업무를 분담 처리하게 했다. 이 해방노예의 대장은 ‘마요르도무스’라고 부른다.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마요르도무스는 그리스 노예 나르키소스였다. 이회장의 나르키소스는 이학수 부회장이다. 나르키소스는 온갖 권력형 비리를 저질렀지만 이부회장은 그렇지는 않은 듯하다.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건희 회장이 로마 황제에 비견된다고 해서 율리우스 카이사르나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처럼 걸출한 인물이라는 것은 아니다. 카이사르는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다섯 가지 자질인 지성·설득력·지구력·자제력·불굴의 의지를 모두 갖춘 흔치 않은 인물이다. 아우구스투스는 정치력과 인내력에 통합력까지 갖춘 불세출의 지도자이다. 매력적인 외모와 지중해를 담을 수 있는 포용력까지 갖췄다. 무엇보다도 이 두 지도자는 자기 역량으로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아무리 이회장의 리더십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이들과 어깨를 견줄 수는 없다.
이회장과 비교할 수 있는 이는 티베리우스나 클라우디우스 정도이다. 티베리우스는 사람들과 섞이는 것을 극단적으로 싫어해 나폴리가 바라다 보이는 카프리섬에서 은둔한 채 로마 제국을 통치했다. 당시 로마 황궁은 로마 한복판에 있는 팔라티노 언덕에 있었다. 티베리우스는 카프리섬에 틀어박혀 자기에게 복종하지 않는 이는 가차 없이 처단하는 공포정치를 폈다. ‘은둔의 카리스마’를 유감없이 발휘한 셈이다.
이회장이 내뿜는 카리스마의 위력은 대단하다. 계열사 사장단에게 주는 중압감은 중국 황제 못지않다. 한번은 보기 드물게 사장단 회의에 참석했던 이회장이 한 계열사 사장의 보고를 받은 적이 있었다. 보고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이회장은 옆 자리에 앉은 윤종용 부회장에게 “니 쟤가 뭔 말하는지 들리냐? 즈게즈게 사장이라는 것이 쯧쯧쯧”라고 내뱉듯이 말했다. 그 이후 이 사장은 식은땀으로 범벅이 된 채 허리를 바로 세우고 사자후를 토해야 했다.
이건희 회장은 알려진 바와 같이 젊은 시절 독일 아우토반에서 스피드를 즐기다 차량 전복 사고를 낸 적이 있다. 그 이후 몸이 크게 불편해졌다. 더욱이 5~6년 전에는 ‘폐암’으로 병고를 치렀다. 따라서 재발 위험이 높아 지나치게 몸을 혹사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다행히도 수술 이후 5년이 지나 재발 위험은 크게 줄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전략기획실의 권능이 막강해졌다. 우선 건강이 온전치 않은 최고 경영진의 두뇌를 지탱하기 위해 25만 명 삼성인 가운데 가장 탁월한 이들 100명을 뽑아 전략기획실을 구성했다. 전략기획실 체제(과거 구조조정본부)는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이학수 부회장은 수익성이라는 단일 기준에 맞춰 철저하게 구조조정본부를 가동해 유동성 위기에 빠진 그룹을 구할 수 있었다.
시사저널 거리편집국(http://blog.daum.net/streetsisajournal)은 <시사저널> 파업기자들의 생생한 목소리와 본지에는 못쓰고 있는 기사들을 올리기 위한 블로그입니다.
|
'HK lounge-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지구 엠마뉴엘성가단 연주회 2007년 6월 18일 (0) | 2007.06.21 |
---|---|
국제신문 기사 (0) | 2007.05.19 |
[스크랩] 과학 영재 학교, 정말 필요한가? - 새로운 사교육 열풍만 불러 일으킨다 (0) | 2007.02.16 |
[스크랩] 독일 아리랑과 요코 이야기 - 독일과 일본의 자화상 (0) | 2007.02.16 |
7개의 알사탕을 남긴 사형수 (0) | 2007.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