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seas & Domestic

“Searching for Grandmaster” by Kukjae Newspaper 고수를 찾아 2008. 6.

Jinyoung Ssangkum Ryu 2008. 6. 6. 20:31

 

 

아래 사이트에서 볼 수 있슴..

 

http://www.kookje.co.kr/news2006/asp/center.asp?gbn=v&code=2500&key=20080606.22027190748

 

웹사이트에서 국제신문 크릭하여 ......

 

국제신문 2008년 6월 6일 발행

 

-고수를 찾아서-

 

사)세계해동검도연합회 총재 김정성의 시범 및 해동쌍검 설명 등등 인터뷰 내용

해동검도 동영상 및 기사를 볼 수가 있슴.

 

 

고수를 찾아서 <29> 김정성 세계해동검도연합회 총재

 

"칼을 뽑지 않고도 이기는 게 최고의 劍人" 한국의 문화상품인 해동검도 전세계 보급에 열성 "검의 움직임은 몸과 마음상태에 따라 저절로 나와" '검은 늦게 빼고 먼저 베야 한다.

 

검을 늦게 빼는 이유는 상대의 기를 제압하기 위한 것이고 상대에 대한 한민족의 양보의 미덕이다. …

그러나 최고의 검인은 검을 뽑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다'. 부산 남구 감만동의 사단법인 세계해동검도연합회 총본관. 도장 벽에 붙은 글귀가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다.

 

'검을 뽑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 최고의 검인이라…'. 묘한 말이다. 무도인의 궁극적인 목적이 이기는 것에 있음은 누구나 수긍하는 터. 근데 어떻게 일합을 겨뤄보지도 않은 채 상대를 굴복시킬 수 있다는 말일까. 궁금증은 김정성(52) 세계해동검도연합회 총재와의 대화 도중 풀렸다. 김 총재가 영국에 갔을 때의 일화. 현지 세미나 후 화장실에 들렀는데 키가 190㎝은 족히 될 듯한 한 흑인이 시비를 걸었다. 알고 보니 그는 킥복싱 선수. 덩치나 신장이 김 총재와 비교조차 되지 않았다. 일촉즉발의 위기. 그러나 대결은 이뤄지지 않았다.

 

김 총재가 그 흑인에게 말했다. 힘이 있어 겨루는 것도 좋지만 더 중요한 것은 칼은 싸움의 도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칼은 다만 심신수련의 도구다. 해동검도는 절대로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라고. 살기등등하던 흑인도 오랫동안 운동을 했던 실력자. 고수끼리는 한 수만 손을 섞어도 서로를 알 수 있지 않다던가. 마침내 그 흑인은 김 총재의 말에 수긍의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세상에는 막무가내로 고집을 피우는 사람도 있게 마련. 이쯤되면 김 총재는 어쩔 수 없이 목검으로 한 수 지도를 한다. 게다가 진검으로 베기 등을 시연하면 애초의 혈기는 간 데 없이 대부분 고개를 숙이고 만다. 두 개의 칼을 이용한 쌍검동작을 선보이고 있는 김정성 세계해동검도연합회 총재.

 

 

아래 사진은 신문지 베기 시범. 박수현 기자 parksh@kookje.co.kr·

 

 

해동검도는 스포츠가 아니다 해동검도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알려진 무술. 한때 모 유명 탤런트가 해동검도의 고수라고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여러 단체가 생겨 일반인으로서는 옥석구별이 쉽지가 않은 실정. 김 총재도 이런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사회에서 보는 우려의 시선과는 명확한 선을 긋는다.

 

"태권도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같은 태권도지만 ○○관, △△관 해서 수많은 도장들이 있지 않습니까. 그렇지만 올림픽 등에는 단체의 구별없이 태권도라는 하나의 이름아래 출전을 합니다. 해동검도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름대로 해동검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거지요. 다만 해동검도를 배우고 싶다면 그 도장이 얼마만큼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먼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동검도는 예부터 내려온 전통수련방식을 바탕으로 현대인에게 맞게 재구성한 것. 단전호흡을 비롯해 검법 베기 격검 등의 수련방법이 있다. 그러나 김 총재는 궁극적으로 해동검도는 스포츠가 아니라 무술이라고 단언한다.

 

따라서 일정한 경기규칙에 따라 수련을 하는 일부 검도와는 비교를 거부한다. 점수에 의해 승패를 가리는 식의 검법은 무술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했다는 이유에서다. 그건 무술이 아니라 스포츠라는 것. 이런 까닭에 김 총재는 해동검도를 그냥 해동검도로 봐주길 원한다. 어느 검도가 더 뛰어난가라는 식의 질문은 그야말로 우문(愚問)이라는 게 김 총재의 지론이다. 그래서 김 총재는 어떤 무술이든 간에 강하고 약함은 없다고 본다. 강하다는 것은 수련하는 사람의 태도에 달렸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극단적으로 모든 무술은 다 똑같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는 두 손과 두 팔, 두 다리를 움직인다는 점에서 무술의 기본 원리는 일치한다는 전제에서 비롯된다. 다만 그것을 행하는 이들의 표현양식이 서로 달라 사람들의 눈에 다르게 보일 뿐이라는 것이다. 김 총재의 이런 생각은 우리나라 무술계에 널리 퍼져있는 '단(段) 숭배' 풍토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내 무술의 합계가 몇 단이오'라는 식의 자랑은 정말 불필요하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 "무술을 하는 데 단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단이라는 건 수련생에게 성취도를 부여하기 위한 하나의 체계죠. 솔직히 말해 심신수련에 무슨 단이 필요하겠습니까. 그래서 저는 단에 연연하는 사람을 보면 말합니다. 그까짓 단 없어도 혼자서 열심히 잘하면 된다고요."

 

검보다는 마음이 우선 김 총재의 해동검도는 쌍검이 특징이다. 어떤 면에서 보면 한 자루의 검으로 수련하는 것보다 검법을 한단계 발전시켰다고 볼 수도 있다. 쌍검은 훨씬 다양한 동작을 펼칠 수 있다. 하지만 보통사람이라면 한 자루의 검도 제대로 건사하기 어렵기 마련. 검 두 자루를 사용해야 한다면 우선 주눅부터 들기 일쑤다. 그런데 뜻밖에 김 총재는 그렇지 않다고 손사래를 친다. "검 한 자루를 가지고 있으나 두 자루를 가지고 있으나, 아예 없으나 마찬가지입니다. 길이도 관계가 없습니다. 오른쪽 칼이 길든 왼쪽 칼이 길든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검이라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죠. 몸과 마음의 흐름에 따라 검은 저절로 따라오게 됩니다. 즉 검은 몸의 움직임에서 나오는 표현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한 것입니다." 알송달쏭하다. 말이 어렵다. 하긴 고수의 경지를 일개 필부가 무슨 수로 이해하겠는가. 요컨대 겉으로 보이는 모습보다는 내공의 힘이 더 중요하는 뜻인 듯하다. 자신이 쥔 칼이 살상용이 되는가, 아니면 심신단련용이 되는가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달린 것이 아니던가.

 

쌍검은 고수만이 할 수 있다는 일반인들의 선입견에 대해서도 그렇지 않다고 못을 박는다. 초보자라고할 지라도 제대로 배우기만 하면 얼마든지 쌍검 구사가 가능하다는 것이 김 총재의 주장이다. "'쌍검=고수'라는 등식은 절대 성립하지 않습니다. 검을 모르는 사람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그동안 쌍검은 고수만이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었을까요. 그건 가르치는 체계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자신은 쌍검을 할 수 있지만 남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는 몰랐던 까닭이지요. 그러다보니 고단자 외에는 쌍검을 할 엄두를 내지 못할 수밖에요.

 

" 김 총재의 말마따나 우리나라에서도 쌍검을 사용하는 사람은 꽤 된다. 그러나 아직 체계화된 이론은 쉽게 찾기 힘들다. 그나마 국내에 소개된 이론은 일본의 '이도류(二刀流)' 정도다. 일본에서는 쌍검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이뤄져 있다. 김 총재는 그동안 두 권의 해동쌍검교본을 펴냈다. 조만간 세 권 분량의 후속교본을 출간할 계획이다. 해서 쌍검에 대한 김 총재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일반인에 대한 보급을 목적으로 쌍검이론을 체계화한 선구자라고 믿는 까닭이다. 바람을 가르는 두 자루 검 도복을 차려입은 김 총재. 왼쪽 허리에 두 자루 검을 차고 우뚝 섰다.

 

전장에 나서는 무사의 모습이 연상된다. 하나씩 검을 뽑아드는가 싶었는데 순식간에 검이 춤추기 시작한다. 날랜 동작. 불빛을 받은 검의 움직임이 더욱 현란해진다. 두 자루의 검이 버티고 있는 그 공간은 이른바 살상지대. 어떤 무기를 들더라도 비집고 들어갈 틈이 보이지 않는다. 상대방이 설사 긴 창을 가지고 있다고 한들. 대나무 베기. 김 총재의 몸짓에 따라 플라스틱 대나무가 하나씩 토막토막 끊겨 나간다. 잘린 대나무의 단면은 매끈하다. 작두를 사용해 작심하고 자른들 이보다 더 예리할 수는 없을 듯.

 

김 총재가 이번에는 신문지 베기에 나섰다. 호흡을 가다듬은 뒤 내지르는 몸놀림에 신문지가 단숨에 일도양단된다. 거침이 없다. 이번에는 신문지 세 장이 번쩍이는 섬광 한 번에 속절없이 두 조각이 나버린다. 위쪽만 고정된 채 공중에 매달린 신문지를 자른다는 것은 웬만한 검도인들도 엄두를 못낼 일. 아래에서 받쳐주지 않기 때문에 물체에 힘이 제대로 가해질 수 없다. 무턱대고 검을 휘두른다면 그냥 찢어지거나 신문지가 둘둘 말려 오는 게 고작일 수밖에.

 

 

던져 베기 역시 놀랍다. 공중에 던져진 테니스 공만한 작은 나무토막 세 개에 정확하게 검이 가격된다. 1초가 채 걸리지 않았을 시간. 그 짧은 동안 공중에서 세 번의 동작이 이뤄진 셈이다. 오랜 수련으로 체득한 탁월한 '동체시력(움직이고 있는 물체를 주시하고 있을 때나 자신이 움직이고 있을 때 사물을 바라보는 능력)'이 없다면 나올 수 없을 터다. "신문지와 같은 부드러운 물체를 벨 때는 내공을 검에 집중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순간속도가 더해져야죠. 베어야 하기 때문에 잡아당긴다는 기분으로 검이 원을 그려야 합니다. 이게 단순히 치는 것과 베는 것의 차이점입니다. 던져 베기 같은 경우는 고도의 집중력과 공간 및 거리 파악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 한국의 무술상품인 해동검도 김 총재의 무술인생은 초등학교 5학년 때 합기도에 입문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 이유가 아주 재미있다. 학교에서 뒷자리에 앉은 친구가 하도 때리길래 맞지 않기 위해서다. 이후 중학교 때에는 유도를 했고 대학시절에는 태권도를 수련했다. 좀 더 강해지려고 킥복싱도 배웠다. 넌지시 질문을 던졌다. 그때 자신을 괴롭혔던 그 학우는 나중에 크게 혼났을 것 같다고. 김 총재는 그냥 웃었다. 어떤 상황이 있었는지는 김 총재만 알 일이다.

 

현재 해동검도는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인기가 높다. 현재 미국 등 전세계 40여 나라에 지부가 개설되어 있다. 덩달아 김 총재도 바쁘다. 일년에 절반 이상은 해외에 체류한다. 수시로 세미나를 연다. 해동검도의 세계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다. 김 총재는 통역없이도 강연이 가능할 만한 영어실력을 갖추고 있다. 일정도 빡빡하다. 김 총재는 얼마 전에도 외국에 다녀왔다. 이달에도 필리핀과 미국 방문 계획이 잡혀 있고 다음달에는 푸에르토리코에 갈 예정이다. 타국의 무도인들도 수시로 김 총재의 도장을 찾는다. 그들에게는 생소한 타국의 무술인 해동검도. 대체 왜 외국인들은 그것에 대해 열광하는 것일까. "저도 그것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다. 일단은 태권도로 유명한 한국의 무술이라는 점이 이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 또 인터넷을 통한 홍보효과도 무시못한다고 봅니다. 그 다음으로는 저 자신의 노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 김 총재는 해동무술을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보고 있다. 더 나아가서는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수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 2001년 부산문화회관에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해동검도 공연을 연 것도 이런 생각에서 나왔다. 해동검도를 발전시키려면 수련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해야 하고 동시에 사람들에게 무술을 널리 알려야 한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작용했다. 올해의 해동검도 공연은 오는 9월 을숙도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세계대회는 내년 7월로 일정을 잡았다. 김 총재는 전세계 60~70개국에서 선수들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저는 궁극적으로 해동검도를 태권도와 같은 한국의 대표적인 무술상품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년에 세계대회가 끝나면 향후 2~3년 안에 100개국에 지부를 만드는 것이 또 하나의 소망입니다. 외국인들에게 해동검도뿐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 등을 알려주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 염창현 기자 haorem@kookje.co.kr 입력: 2008.06.05 19:09 / 수정: 2008.06.06 오전 12:19:27

 

“Searching for Grandmaster

 

“The Kum (sword) should be drawn slowly but pointed out to your opponent faster. The reason you have to draw your Kum slowly is to dominate spirit over your opponent(s) and Hanminjok’s (Korean’s) mercy to the opponent…However, the best Kumin (fencer) is who can gain a victory without drawing the Kum.

 

The Headquarter of World Haedong Kumdo Federation is located at Gamman dong, Busan Namgu, Korea. As soon as you got there, there is a writing which is not understandable but catching your eyesight. It says, “the Kumin (fencer) can be the best when Kumin can win match without drawing Kum…” It is natural for you believe that the goal of match is to win it and there should be physical match. In spite of this truth, how can you believe that you win the match without physical contact? It has been answered right after the interview with Grandmaster Kim.

 

Here is an episode when Grandmaster Kim went to England;

 

After a seminar, Grandmaster Kim went to restroom and accidently, he ran into an African-American who was a kick-boxer. He was much taller than Grandmaster Kim and possibly, he wanted to challenge himself against Grandmaster Kim. Maybe, he thought Grandmaster Kim is one small Korean. That’s why he was trying to pick a quarrel without any reasons. Grandmaster Kim didn’t mention about why he did but at least, it is enough for him to fight against a small Korean as a young and big kick-boxer. It was very critical moment for both but luckily or unluckily, there was no fight. Grandmaster Kim gave him a lesson saying, “Kum and power is for training, not for fighting. The Haedong Kumdo never be involved in a fight without any reasons.” As an expert of martial arts and with instinct, he understood what Grandmaster Kim meant to.

 

It is necessary for Grandmaster Kim to demonstrate and show his techniques with MokKum (wooden sword) to anyone who are trying to fight against to Grandmaster Kim. As soon as he did, it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ight at the same time.

 

Haedong Kumdo is not a Sports

 

Haedong Kumdo is known to everyone nationally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as well. There were a Korean actor who became very popular after he was known for being a Master of Haedong Kumdo. Although it is one example, it has been a struggle to find what the originality of Haedong Kumdo is. Although Grandmaster Kim knows this situation, he would like to figure out this situation with this aspect;

 

“Please think about Taekwondo. There are a number of branches of Taekwondo such as Chungryong Kwan, Kukil Kwan, etc. However, we have an official game with one name, called by Taekwondo at Olympics. Haedong Kumdo is as same as Taekwondo. Everyone is making efforts to develop the Haedong Kumdo and it may be possible, we can have more branches than we may think.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find the best place to learn Haedong Kumdo than to learn anywhere.”

 

Haedong Kumdo has been redesign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traditional training methods such as Danjeon (hypogastric) Breathing, Kumbeop (sword technique), Baeki (cutting technique), etc. However, Grandmaster Kim insists that Haedong Kumdo is not a ‘sports.’ He believes that it is ‘martial arts’ because it is different with Kumdo (fencing) which should follow the rule, and it is decided by score. Therefore, he would like to regard the Haedong Kumdo as it is, ‘martial arts.’ He believes that it is a wrong question to ask which Kumdo is better. Maybe, you must ask, “is it good for your physical and spiritual training?”

 

Grandmaster Kim said there is no strong or weak points for all martial arts. He believes it would depend on trainee’s attitude and behavior. He believes that all martial arts are similar. He argues that the basic principle of all martial arts is using two hands, arms, and legs. only one difference among martial arts is that they are played in the different ways and it is shown differently. Additionally, he criticizes the trend that ‘Dan’ (level or grade of martial arts’ technique) is regarded as so important matter. “The Dan is not important as much as training process. It is an only system to motivate trainees to achieve their goal and make them improved. It would be better to train yourself than to have a higher Dan.”

 

Your Spirit Must Go before Kum.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Haedong Kumdo is Ssangkumbeop (method of using two swords). It is upper level than Kumbeop using a Kum. It is a very dynamic method which can create a number of motions. Simply, we can think that it would be harder to use Ssangkum than a Kum. However, Grandmaster Kim explained why it is not true. “Whether you have a Kum, Ssangkum, or nothing is not a matter. Neither is the length of Kum. Of course, it is not a matter whether left Kum is longer than right one or otherwise. Kum is the only additional outfit and movement followed by your body’s motion.” Although it is so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his idea, it seems that the internal power i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power. He wants to make sure it is a prejudice that Ssangkum is only for Master. If it can be learned how to use Ssangkum correctly, it is very possible for anyone to use Ssangkum.

 

The equation, ‘Ssangkumbeop = Master’ never exist. Although you have never learned how to use a Kum, you can learn Ssangkumbeop. But, why has it been known only for Master to use Ssangkum? Grandmaster Kim said, “it is because there was no system for public to learn Ssangkumbeop. Although some experts knew how to use it, they did not know how to teach it. Therefore, it was so difficult for the public to learn how to do it except experts in Ssangkumbeop.

 

It is said there are a lot of experts in Ssangkumbeop but it is hard to find a systemic theory or concept of Ssangkumbeop. Idoreuw (one branch of using two swords in Japan) is the only one theory which was introduced in Korea. Many studies of Idoreuw have been done in Japan. For this reason, Grandmaster Kim has begun to investigate about Haedong Kumdo.  He has published two training manual textbooks about Haedong Kumdo. He is planning to publish three more training manuals. He is so proud of himself because he believes he is a pioneer to systematize the theory of Ssangkumbeop to the public.

 

Ssangkum Cut the Wind into Two Pieces

 

Grandmaster Kim is standing with Ssangkum. He looks like a knight right before a battle. Two Kums are beginning to dance as soon as he draws each Kum. The movements of his two Kums are just like a crane wings’ flapping. Although opponents have better and stronger weapons, it seems that there is no chance for opponents to find his unguarded points.

 

Grandmaster Kim demonstrates his techniques. He starts with Bamboo Baeki. The plastic bamboo is cut into piece by piece. What a beautiful Baeki is! The fodder cannot be sharper than his Baeki. Again, he shows paper Baeki. They are cut into two pieces by one Baeki. It is even hard for an expert to cut the paper in the air. It requires high technique to cut papers into two pieces because papers do not have a certain point to cut through in the air. His Baeki technique with thrown subjects is even better. With a single stroke of his Ssangkum, three pieces of wood, which is as small as tennis ball, were hit accurately by his Ssangkum. It is not possible if he does not have an excellent technique, called by Dongchae (moving object) - SeeRuck (sight or vision); the ability to see objects which are moving separately. “You must concentrate your spirit on your Ssangkum when you are trying to cut soft object like paper. And then, you should accelerate your Ssangkum’s speed. Ssangkum should make circle feeling like pulling Ssangkum. This is the most different point between hitting and Baeki. Deonjeo Baeki (throwing objects and cutting) requires the best concentration and ability to recognize the distance and space.”

 

Haedong Kumdo, Unique Marketing Product for Korean Martial Arts!

 

His life of martial arts began with his learning of Hapkido (one of Korean martial arts) when he was 5th grade student. He decided to learn martial art because he wanted to protect himself from his classmate’s violent behavior. He learned and experienced Judo, Taekwondo, and Kickboxing through his school days from middle school to college. He made a smile when he was asked what happened to him who was very picking on him when he was 5th grader.

 

Now, Haedong Kumdo is more popular internationally than in Korea. There are about forty branches in the world including U.S.A. He spends more than six months out of the country to achieve his goal, ‘Make Haedong Kumdo globalized.’ Needless to say, he can lecture in English without an interpreter. He is always busy. He is going to visit Philippines and U.S.A. during this month and he is planning to visit Puerto Rico for next month. There are always many visitors from foreign countries to see him. It is true that Haedong Kumdo is very unfamiliar with them. But, why is world so excited over Haedong Kumdo? Grandmaster Kim said, “I’ve never thought about it. But I think it is a main reason that Haedong Kumdo comes from Korea where Taekwondo comes from. Secondly, the effect of web-marketing of Haedong Kumdo is the other reason. And finally, it would be my contribution, I guess” with a smile.

 

He strongly believes that Haedong Kumdo is one of the best martial arts which Korean can be proud of and have to inform to the world as one of the resource to introducing Korean culture. That is why we introduced Haedong Kumdo for the first time at the Busan Cultural Center in 2001. It is necessary to motivate trainee and introduce to the public to develop Haedong Kumdo. It has been scheduled to have a next event at the Eulsukdo Cultural Center, Korea on September, 2008. Additionally,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will be held in July, 2009. Grandmaster Kim is expecting that there will be about seventy countries to participate in this competition.

 

“I will try to inform Haedong Kumdo as we did for Taekwondo to the world. Within two or three years, I hope we have more than one hundred branches in the world. It is not only to introduce Haedong Kumdo to the world but also inform Korean culture to the world by Haedong Kumdo.”

 

 

 

 

 

 

 

Reported By Changhyun Yeom, haorem@kookje.co.kr

Translated By Young H. Kim, ykim@olemiss.edu

 

 

To Master Yang, Il-nam (Hyung)!

 

Reference

 

Kookje Newspaper (2008). Searching for the Master. Retrieved  August 12, 2008, from http://www.kookje.co.kr/news2006/asp/center.asp?gbn=v&code=2500&key=20080606.22027190748